반응형

브루잉 2

브루잉 추출 시간, 칼리타 드리퍼에 대해 알아볼까요?

추출 시간 분쇄도와 밀접한 관련 입자가 가는 경우 : 긴 추출 시간 -성분이 많이 추출, 진한 커피, 쓴 맛이 많이 납니다 입자가 굵은 경우 : 짧은 추출 시간 -성분이 적게 추출, 연한 커피 -물 비린내, 높은 신 맛이 나는 단점이 있습니다 -로스팅 정도, 품종, 기구에 따른 다른 추출 방식 물줄기 모양 정 드립 -일본에서 개발, 린싱(종이필터를 물에 적시는 행위-종이 냄새를 없애기 위함)작업 안함, 성분이 많이 추출 -가루에 물을 통과시키는 원리, 진한 질감 푸어 오버 -미국에서 사용, 깔끔한 맛에 중점 -린싱 작업 : 물이 고였다가 추출되는 원리, 적시고 추출되는 원리 -성분이 적게 추출, 연하고 가벼운 질감입니다 주요도구들 : 포트, 그라인더, 필터, 계량스푼, 저울, 원두보관 용기, 타이머, 온..

바리스타 2024.04.12

그리딩, 글라이딩, 원두 분쇄에 대해 알아볼까요? 그라인더의 방식은?

에스프레소 정의 추출 메커니즘 (한 잔의 진한 커피를 빠른 시간안에 우려내는 것) 6-7g의 커피, 20~30초, 7-8bar(압력), 88~95ºC 농후한 초콜릿 맛과 향, 지속성, 쓴 맛+신 맛 *지속성 : 오일성분이 많으면 크레마가 많이 생깁니다 분쇄 굵기가 중요 블랜딩(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) 분쇄(Grinding) 커피의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분쇄도에 따른 편차가 있습니다. 분쇄도(Mesh) 가늘수록 Fine, 굵을수록 Grosso라고 표현합니다. Fine : 우려내기, 여과하는 커피에 많이 사용합니다. Grosso : 끓이기, 브루잉(핸드드립)물과의 접촉 시간이 가장 중요합니다.커피의 다양한 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 분쇄 방식 1. 충격식(Blade, 블레이드) 칼날의 회전..

바리스타 2024.04.08
반응형